티스토리 뷰

반응형
Flutter(프레임워크)

 

구글에서 2017년 5월 출시된 모바일/웹/데스크톱 크로스 플랫폼 GUI SDK이다.

하나의 코드로 안드로이드, 리눅스, Windows, macOS, IOS 및 웹브라우저에서 모두 동작되는 앱을 위해 출시.

사용하는 언어로는 구글에 의해 제창된 Dart를 사용.

 

플러터 프레임워크는 소스 코드를 네이티브 CPU 머신 코드로 직접 컴파일하며 UI를 렌더링 엔진 Skia로 직접 렌더링 하기 때문에 성능이 뛰어나다. 소프트웨어 디자이너의 선택에 따라 iOS 앱에서 구글의 Material 테마 디자인과 Ripple 애니메이션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고 반대로 안드로이드에서 애플의 Cupertino 테마를 적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플랫폼에 관계없이 플러터용 테마 디자인 라이브러리 적용 및 테마(Theme) 커스텀이 가능하다는 뜻이다. 각 OS의 네이티브 Widget/UI 컴포넌트로 변환하지 않고 플러터의 렌더링 엔진인 스키아로 직접 플랫폼 캔버스 상에 그리기 때문에 성능이 높고 어느 운영체제에서나 픽셀 퍼펙트한 소프트웨어 디자인이 가능하다.

 

크로스 플랫폼 환경이면서도 네이티브 성능, 미려한 UI 디자인 라이브러리, 확장 기능을 제공하는 앱 프레임워크이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나 IntelliJ IDEAVisual Studio Code 등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 디자인을 할 수 있다.

 

Flutter 정리
  1. Flutter는 프레임워크 즉 앱을 만들기 위해 정확한 규칙이 제공되는 틀.
  2. Dart라는 언어를 사용.
  3. 크로스 플랫폼(안드로이드, IOS) 애플리케이션 개발.
  4. 인터페이스나 사용자 경험을 하나로 통일.
    (네이트앱 개발 시 각 OS 별로 서로 다른 인터페이스가 제공되지만 Flutter는 자체적으로 인터페이스를 렌더링 하기 때문에 같은 인터페이스&사용자 경험이 제공됨)
  5. SDK(Software Development Kit) - 구글이 제공하는 소스코드의 모음과 유틸리티.

 

 

이번 내용도 코딩셰프 님의 강좌를 보고 직접 실습한 내용을 작성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출처 : https://youtu.be/AdYRASHRKwE - 플러터(flutter) 순한맛 강좌 1 | 우리는 왜 플러터(flutter)를 학습해야 할까요?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4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글 보관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