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공부하는 키보드르륵/Android

앱 개발의 특징

키보드르륵 2024. 4. 22. 23:32
반응형
컴포넌트를 기반으로 한 개발

 

컴포넌트라 하면 안드로이드뿐만 아니라 여러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사용하는 개념으로 애플리케이션의 구성요소 라고 할 수 있다. 즉 컴포넌트는 애플리케이션이 아니라 애플리케이션을 구성하는 단위로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경우 여러개의 컴포넌트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안드로이드에서는 클래스로 컴포넌트를 개발 한다. 하나의 클래스가 하나의 컴포넌트가 된다.

 

컴포넌트의 종류

 

안드로이드 컴포넌트는 4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1. 액티비티 - 화면을 구성하는 컴포넌트로 화면을 안드로이드폰에 출력하려면 액티비티를 만들어야 하며 앱이 실행되면 액티비티에서 출력한 내용이 폰에 나옴
  2. 서비스 - 백그라운드 작업을 하는 컴포넌트, 화면 출력 기능이 없는 것으로 서비스가 실행되더라도 화면에는 출력되지 않아 서비스 컴포넌트는 화면과 상관없이 백그라운드에서 장시간 실행해야 할 업무를 담당
  3. 콘텐츠 프로바이더 - 앱의 데이터를 공유하는 컴포넌트로 여러 앱들 간에 데이터를 공유할 수 있어 자신의 데이터를 다른 앱에 공유하기 위해서는 콘텐츠 프로바이더를 생성해야 하며 다른 앱들은 생성된 콘텐츠 프로바이더를 이용하여 데이터에 접근
  4.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 시스템 이벤트가 발생할 때 실행되게 하는 컴포넌트, 사용자가 발생한 이벤트가 아니라 시스템에서 발생하는 특정 상황을 의미(ex. 배터리방전, 시스텝 부팅 등)

 

컴포넌트 구분

 

컴포넌트는 앱이 실행될 때 안드로이드 시스템에서 생명주기를 관리하는 클래스지만 개발자가 만들어야 하는 클래스로 개발자가 클래스를 만들 때 지정된 클래스를 상속받아야 하는데 상속받는 클래스를 보고 구분이 가능

  1. 액티비티 - Activity 상속
  2. 서비스 - Service 상송
  3. 콘텐츠 프로바이더 - ContentProvider
  4. 브로드캐스트 리시버 - BroadcastReceiver

 

리소를 활용한 개발

 

리소스란 코드에서 정적인 값을 분리한 것을 말하며 대표적인 예로는 문자열, 색상, 크기, 레이아웃, 이미지, 메뉴 등을 말한다.

사용자 이벤트 같이 동적인 값이 아나라 항상 같은 값이라면 코드에 담지 않고 따로 분리하여 개발시 불필요한 코드를 줄여 개발 생산성과 유지/보수에 이점을 가진다.

 

반응형
반응형
공지사항
최근에 올라온 글
최근에 달린 댓글
Total
Today
Yesterday
링크
«   2025/05   »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글 보관함